돌핀 | 삼성전자 종목 정보
삼성전자005930
최신 업데이트: 2025-01-17
Line Chart
뉴스
실시간 한국거래소 가격 및 등락률 데이터는 20분 지연되어 제공됩니다.
이제 텔레그램에서도 시그널 뉴스를 받아보세요!
News List
- 연합뉴스
"주가 하락하면 자사주도 덜 준다"…'주가부양' 칼빼든 삼성전자
경제삼성전자는 임원의 성과급을 주식과 연동하여 지급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이는 주가 하락에 대한 책임 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성과급의 50% 이상을 자사주로 지급하며, 주가 하락 시 지급 주식 수량도 줄어든다. 상무는 성과급의 50% 이상, 부사장은 70% 이상, 사장은 80% 이상, 등기임원은 100%를 자사주로 선택해야 하며, 주식은 1년 뒤 지급되고 일정 기간 매도할 수 없다. 이는 주가 부진이 장기화됨에 따라 임원의 책임 경영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인사이트 Q&A- •
- •
- 서울경제
[오후 시황] 외국인 순매도에…코스피·코스닥 약보합 계속
경제코스피가 17일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로 2520선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오후 2시 30분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0.23% 내린 2521.69에 거래 중이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873억 원, 864억 원을 순매도하고 있으며, 개인은 3305억 원어치를 매수 중이다. 주요 종목 중 SK하이닉스, 네이버, 메리츠금융지주 등은 상승했으나, 삼성전자, 현대차, 셀트리온 등은 하락했다. 코스닥 지수는 0.13% 내린 723.31에 거래 중이다.
인사이트 Q&A- •
- •
- 서울경제
삼성운용, TR형 美 지수 ETF 올 7월 분배형으로 전환 검토
금융삼성자산운용은 2024년 세법 개정 후속 시행령에 따라 기존 해외 주식형 토탈리턴(TR) 상장지수펀드(ETF)를 7월 1일 이후 분배형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기획재정부는 TR형 해외ETF의 분배 유보 범위를 조정해 이자·배당 소득을 매년 1회 이상 결산·분배하도록 할 예정이다. 삼성자산운용은 기존 투자 고객의 편의를 위해 업계 최저 수수료율을 유지하며, 분배금을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복리 효과를 최대한 유지할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인사이트 Q&A- •
- •
- 매일경제
현대차증권, ‘조기상환형 스텝다운’ ELS 1종 공모
금융현대차증권이 17일부터 23일까지 '현대차증권 공모 제2674회 주가연계증권(ELS) 원금비보장형' 상품을 모집한다. 이 상품은 삼성전자와 현대차 보통주를 기초자산으로 하며, 만기는 3년이다. 조건 충족 시 최고 연 12%의 세전 수익률을 제공하며, 최소 가입 금액은 100만원이다. 6개월 단위로 자동조기상환 기회가 제공되며, 만기평가일에 기초자산이 최초기준가격의 75% 이상일 경우 세전 36%의 수익을 받을 수 있다. 단, 기초자산 중 하나라도 최초 기준가격의 55% 미만으로 하락하면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인사이트 Q&A- •
- •
- 매일경제
삼성자산운용, 7월1일 이후 TR형 해외ETF의 분배형 전환 검토
금융삼성자산운용은 2024년 세법개정 후속 시행령 개정안에 따라 기존 TR형 해외ETF를 7월 1일 이후 분배형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기재부는 TR형 해외ETF의 이자/배당 소득을 매년 1회 이상 결산/분배하도록 조정한다고 발표했다.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미국S&P500TR과 KODEX 미국나스닥100TR을 운영 중이며, 총보수를 업계 최저 수준인 0.0099%로 유지할 예정이다. TR방식의 복리효과를 유사하게 유지할 방법을 찾아 적용할 계획이다.
인사이트 Q&A- •
- •
AI 트레이딩
실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매매타이밍을 확인해보세요.
공시 트레이딩
지분변동
AI가 지난 1년간 지분변동 공시 발표 이후의 수익률을 분석했어요. 가장 최근의 지분변동 공시는 2025-01-17일 (1영업일 전)에 발표되었어요.
Price Change With Table
지분변동 공시 발표 이후 예상 1일 수익률은 0.00% 입니다.
2025-01-17 | 원문 보러가기 | |
---|---|---|
2024-12-20 | 원문 보러가기 |
Disclosure Description
삼성물산은 삼성전자 주식 1,198,114,226주(20.07%)를 보유하고 있음. 보유 주식 수가 직전 보고서 대비 4,791주 감소함. 보고서일 기준 자산총액은 약 667,270억원, 부채총액은 약 262,299억원, 자본총액은 약 398,971억원임. 주요 계약으로 경영권에 영향을 주기 위해 담보 제공 등 다양한 계약이 체결됨.
2024년 12월 20일에 삼성물산은 삼성전자 주식 1,198,119,017주(20.07%)를 보유하고 있으며, 직전 보고서 대비 91,303주 감소함.
Technical Cases Revenue Rates
최근 1건은 2024-12-20일에 발생하였으며, 이후 주가는 1일간 0.94% 움직였어요.
지난 1년간 국내주식시장에서는...!
지분변동 공시 수 | 14,006건 |
---|---|
공시 발표 이후 1일 평균 수익률 | 0.05% 상승 |
지분변동 공시를 발표한 종목은 같은 기간 KOSPI 시장보다 0.03% 상승했어요.
수급 트레이딩
기관 순매도 5일 이상 지속
내일 기관이 순매도하면 기관 순매도 5일 이상 지속한 종목입니다.
Trading Description
지난 1년간 기관 순매도 5일 이상 지속 상황은 24건 발생하였습니다.
Technical Cases Revenue Rates
최근 3건은 2025-01-16, 2025-01-15, 2024-09-11일에 발생하였으며, 이후 주가는 1일간 각각 -1.10%, 1.12%, 2.16% 움직였어요.
지난 1년간 국내주식시장에서는...!
기관 순매도 5일 이상 지속 발생 수 | 76,974건 |
---|---|
기관 순매도 5일 이상 지속 이후 1일 평균 수익률 | -0.02% 하락 |
기관 순매도 5일 이상 지속 상황이 발생한 종목은 같은 기간 KOSPI 시장과 수익률 차이가 없어요.
공시분석
Report Card
공시유형
지분변동
2025-01-13에 보고된 보유주식 수는 소폭 감소하였으나 보유비율은 동일하게 유지되었습니다. 2024-11-13에 주요계약체결 주식 수가 감소하였으며, 2024-10-22에는 경미한 주식 보유 변동이 관찰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삼성물산의 보유 주식 비율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입니다
공시
2025-01-17 | 원문 보러가기 | |
---|---|---|
2024-11-15 | 원문 보러가기 | |
2024-10-25 | 원문 보러가기 |
Report Card
공시유형
실적속보
2025년 1월 8일 발표된 2024년 4분기 실적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65% 증가하여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2024년 2분기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23.44% 증가하여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전반적으로, 삼성전자는 2023년 3분기의 매출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2024년 동안 회복세와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공시
2025-01-08 | 원문 보러가기 | |
---|---|---|
2024-07-31 | 원문 보러가기 | |
2023-10-31 | 원문 보러가기 |
Report Card
공시유형
내부자거래
2025년 1월 6일, 삼성전자 주요 주주들의 주식 소유 비율에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2024년 12월 27일, 삼성생명과 관련 계정이 주식을 장내 매도하며 비율의 감소를 보였습니다. 전체적으로 주식 매수와 매도가 혼재되어 있으며, 이는 주가에 중립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공시
2025-01-06 | 원문 보러가기 | |
---|---|---|
2024-12-11 | 원문 보러가기 | |
2024-11-25 | 원문 보러가기 |
Report Card
공시유형
신규투자
삼성전자는 2024년 12월 23일 미국 상무부와 최종 계약을 체결하며 370억불 이상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음을 발표하였습니다. 2024년 4월 16일에는 예비 협약을 통해 400억불 이상의 예산을 예상했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삼성전자의 반도체 생산 역량 확충을 위한 일련의 투자는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시
2024-12-23 | 원문 보러가기 | |
---|---|---|
2024-04-16 | 원문 보러가기 |
Report Card
공시유형
자사주
2024년 11월 15일, 삼성전자는 총 10조원 규모의 자기주식을 향후 1년 내 매입할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주가 안정성을 높이고 주주가치를 제고하는 전략으로 평가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는 회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공시
2024-11-15 | 원문 보러가기 |
---|
Report Card
공시유형
기타
삼성전자는 2024년 7월 31일에 34.1억원을 사회공헌 기부금으로 호암재단에 출연하였습니다. 이러한 기부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회사의 이미지와 평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이러한 정보는 삼성전자의 지속 가능한 경영 방침을 재확인하는 긍정적인 요소로 평가됩니다
공시
2024-07-31 | 원문 보러가기 |
---|
Report Card
공시유형
배당
2024-07-31에 삼성전자는 주당 361원의 분기배당을 발표하여 안정적인 배당 정책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냈습니다. 2023-10-31에도 같은 금액의 배당을 지급함으로써 배당 안정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정보들은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며, 삼성전자의 배당 정책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회사 내 재정 상태의 안정성을 시사합니다
공시
2024-07-31 | 원문 보러가기 | |
---|---|---|
2023-10-31 | 원문 보러가기 |
Report Card
공시유형
자산양수/양도
삼성전자는 2023년 10월 31일에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105억 원에 천안사업장 내 건물 및 기계장치를 양수받기로 했습니다. 이 양수는 새로운 생산 부속시설 건설을 위한 부지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회사의 장기적인 생산 능력 확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공시
2023-10-31 | 원문 보러가기 |
---|
기술분석
Report Card
지표
60일선 붕괴매도
주가가 60일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했습니다. 중기적인 하락 추세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로, 강력한 투자 심리 악화를 나타냅니다
관련 지표
2025-01-10 |
---|
Report Card
지표
20일선 돌파매수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했습니다. 단기적인 상승 모멘텀이 형성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관련 지표
2025-01-03 |
---|
Report Card
지표
20일선 돌파실패매도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를 실패하고 다시 하락했습니다. 상승 모멘텀의 약화를 나타내며, 단기적인 하락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관련 지표
2024-12-24 |
---|
Report Card
지표
20일선 붕괴매도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했습니다. 단기적으로 하락 추세의 시작을 알립니다
관련 지표
2024-12-17 |
---|
Report Card
지표
20일선 붕괴매도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했습니다. 단기적으로 하락 추세의 시작을 알립니다
관련 지표
2024-11-28 |
---|
Report Card
지표
20일선 지지매수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 위에서 하락을 멈추고 반등했습니다. 단기적으로 상승 추세의 시작을 알립니다
관련 지표
2024-11-22 |
---|
Report Card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하락매도
거래량이 3거래일 연속으로 하락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가 하락이 예상되지만, 안정화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관련 지표
2024-09-24 |
---|
경쟁사
Competitors List
디지캡
197140
- ∙ 매출액246억원
- ∙ 시가총액310억원
- ∙ PER-
- ∙ 카테고리일반 소프트웨어
드래곤플라이
030350
- ∙ 매출액166억원
- ∙ 시가총액164억원
- ∙ PER-
- ∙ 카테고리게임 소프트웨어
하이소닉
106080
- ∙ 매출액50억원
- ∙ 시가총액845억원
- ∙ PER-
- ∙ 카테고리휴대폰 및 관련부품
코나아이
052400
- ∙ 매출액2,802억원
- ∙ 시가총액2,114억원
- ∙ PER7.30
- ∙ 카테고리IT 서비스
엔피
291230
- ∙ 매출액353억원
- ∙ 시가총액841억원
- ∙ PER-
- ∙ 카테고리미디어
이노뎁
303530
- ∙ 매출액840억원
- ∙ 시가총액501억원
- ∙ PER48.74
- ∙ 카테고리IT 서비스
칩스앤미디어
094360
- ∙ 매출액276억원
- ∙ 시가총액2,624억원
- ∙ PER-
- ∙ 카테고리반도체 및 관련장비
텔레칩스
054450
- ∙ 매출액1,911억원
- ∙ 시가총액1,673억원
- ∙ PER2.67
- ∙ 카테고리반도체 및 관련장비
뷰웍스
100120
- ∙ 매출액2,203억원
- ∙ 시가총액2,030억원
- ∙ PER13.80
- ∙ 카테고리의료 장비 및 서비스
기업정보
한국 및 DX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SDC, Harman 등 229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임. 세트사업은 TV를 비롯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DX부문이 있음. 부품 사업에는 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DS 부문과 스마트폰용 OLED 패널을 생산하고 있는 SDC가 있음.
추천영상
815머니톡
• 트럼프의 관세 조정 가능성과 Nvidia 젠슨황의 마이크론 칩 탑재 발표는 단기적으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주가에 조정을 불러왔지만, SK하이닉스는 HBM3·16단 제품의 독점적 기술력으로 장기 성장 동력을 확보했습니다.
• 원달러 환율이 1450원 선에서 안정화되며 외국인 순매수가 이어지고, 공매도 재개와 맞물려 국내 증시 수급 개선 가능성도 주목됩니다. 조선업은 LNG 인프라 확장과 고마진 프로젝트의 실적 반영으로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예상되며,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가동률 상승과 AI 사업 확장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 CES 2025에서 엔비디아는 블랙웰 기반 그래픽 카드와 로봇 신제품을 공개하며 AI 및 로봇 시장 확장에 나설 예정입니다. 테슬라는 4분기 인도량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신차 출시와 생산 확대를 통해 2025년 실적 개선이 전망됩니다.
• 국내에서는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인수해 로봇 양산 테스트를 준비하며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BYD의 전기차가 국내에 진출하며 현대·기아차와의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815머니톡
• 중국의 반도체 시장이 엔비디아의 독점적 지위를 위협하고 있으며, 자국 내 주문형 반도체 설계 및 생산을 통해 엔비디아 의존도를 줄이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여전히 AI 반도체 시장에서 90%에 가까운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지만, 지정학적 리스크와 중국발 규제, 공급 제한 등으로 주가가 다소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 동시에,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미국의 반도체 보조금 지급 지연으로 전략적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성장과 보조금 지원으로 경쟁 환경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전인구경제연구소
• 미국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의 HBM 수출을 제한했으나 일본은 면제를 받았습니다. 이는 정치적 요인이 경제를 지배하는 현 상황을 보여주며, 미국의 전략적 의도에 따라 한국 반도체 산업이 불리한 위치에 놓였음을 강조합니다. 일본은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반도체 산업 재건에 성공적으로 나섰고, TSMC와의 협력을 강화하며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 반면, 한국은 규제 대응 준비 부족과 외교적 협상력 약화로 인해 피해를 입었으며, 삼성전자 등 반도체 기업들이 외국인 매도세로 주가 하락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이 상황은 한국 반도체 산업 전반에 걸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글로벌 반도체 패권 변화에 대한 투자자들의 이해와 전략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재무분석
실적분석
Financial Statements Table
IFRS(연결) | 2020/12 | 2021/12 | 2022/12 | 2023/12 |
---|---|---|---|---|
매출액(억 원) | 2,368,070 | 2,796,048 | 3,022,314 | 2,589,355 |
영업이익(억 원) | 359,939 | 516,339 | 433,766 | 65,670 |
순이익(억 원) | 264,078 | 399,075 | 556,541 | 154,871 |
영업이익률(%) | 15.2 | 18.5 | 14.4 | 2.5 |
순이익률(%) | 11 | 14 | 18.1 | 5.6 |
ROE(%) | 10 | 13.9 | 17.1 | 4.1 |
부채비율(%) | 37.1 | 39.9 | 26.4 | 25.4 |
유보율(%) | 29,723.5 | 32,906.5 | 38,360.2 | 39,256.9 |
EPS(원) | - | - | - | - |
PER(배) | 21.1 | 13.6 | 6.9 | 3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