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핀 | NAVER 종목 정보
NAVER035420
최신 업데이트: 2025-07-07
Line Chart
회원가입 후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뉴스
실시간 한국거래소 가격 및 등락률 데이터는 20분 지연되어 제공됩니다.

이제 네이버에서 돌핀 미국 주식 분석을 만나보세요.
심층 분석부터 투자 추천 및 실적 발표 핵심 포인트까지,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받아보세요!
News List
- 글로벌에픽
원화 스테이블 코인, 완벽 분석 & 바뀔 투자 지형에 수혜 종목
금융NAVER는 AI 분야에서 GPU 대량 구매, 데이터센터 구축, LLM 개발 등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유일한 기업으로, 정부의 AI 100조원 투자 계획에서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원화 스테이블 코인 도입으로 네이버쇼핑 판매업자들은 낮은 수수료로 실시간 정산을 받을 수 있어, 플랫폼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NAVER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며,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인사이트 Q&A- •
- •
- 핀포인트뉴스
[거래소 외국인] 삼성전자·두산에너빌리티·산일전기 매수폭발...SK하이닉스·NAVER·현대차 매도
경제LG는 최근 외국인 투자자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클라우드 및 AI 수주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LG의 중장기 성장 가능성을 시사하며, 특히 기술주에 대한 글로벌 조정 분위기 속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LG의 사업 모델과 시장 내 위치를 고려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인사이트 Q&A- •
- •
- 더벨
[그룹 & 보드]네이버 김희철 CFO 체제, 중앙집권적 재무 정책 '강화'
경제네이버는 김희철 CFO 체제 하에 재무 정책의 중앙집권화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계열사 이사회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CFO가 11곳의 계열사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재무적 안정성을 높이고, 그룹 차원의 정책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네이버의 재무적 통제력을 높이고, 향후 투자 안정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사이트 Q&A- •
- •
공시분석
Report Card
공시유형
내부자거래
공시
2025-02-07 | 원문 보러가기 | |
---|---|---|
2024-11-08 | 원문 보러가기 | |
2024-09-20 | 원문 보러가기 |
Report Card
공시유형
배당
공시
2025-02-07 | 원문 보러가기 | |
---|---|---|
2024-02-02 | 원문 보러가기 |
Report Card
공시유형
실적속보
공시
2025-02-07 | 원문 보러가기 | |
---|---|---|
2024-11-08 | 원문 보러가기 | |
2024-02-02 | 원문 보러가기 |
Report Card
공시유형
지분변동
공시
2025-01-10 | 원문 보러가기 |
---|
Report Card
공시유형
자사주
공시
2025-01-07 | 원문 보러가기 | |
---|---|---|
2025-01-02 | 원문 보러가기 | |
2024-10-30 | 원문 보러가기 |
Report Card
공시유형
기타
공시
2024-12-19 | 원문 보러가기 | |
---|---|---|
2024-05-10 | 원문 보러가기 |
기술분석
Report Card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하락매도
관련 지표
2025-07-01 |
---|
Report Card
지표
골든크로스(20-60) 발생매수
관련 지표
2025-06-18 |
---|
Report Card
지표
20일선 돌파매수
관련 지표
2025-06-05 |
---|
Report Card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하락매도
관련 지표
2025-05-16 |
---|
Report Card
지표
20일선 지지매수
관련 지표
2025-05-08 |
---|
Report Card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하락매도
관련 지표
2025-04-02 |
---|
Report Card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하락매도
관련 지표
2025-04-01 |
---|
경쟁사
Competitors List
비즈니스온
138580
- ∙ 매출액511억원
- ∙ 시가총액3,560억원
- ∙ PER23.61
- ∙ 카테고리IT 서비스
지어소프트
051160
- ∙ 매출액5,089억원
- ∙ 시가총액1,396억원
- ∙ PER13.21
- ∙ 카테고리도소매
아티스트유나이티드
321820
- ∙ 매출액213억원
- ∙ 시가총액2,358억원
- ∙ PER-
- ∙ 카테고리IT 서비스
엔비티
236810
- ∙ 매출액1,067억원
- ∙ 시가총액571억원
- ∙ PER-
- ∙ 카테고리미디어
비큐AI
148780
- ∙ 매출액169억원
- ∙ 시가총액315억원
- ∙ PER42.94
- ∙ 카테고리일반 소프트웨어
핑거스토리
417180
- ∙ 매출액184억원
- ∙ 시가총액361억원
- ∙ PER17.58
- ∙ 카테고리미디어
갤럭시아머니트리
094480
- ∙ 매출액1,324억원
- ∙ 시가총액3,197억원
- ∙ PER-
- ∙ 카테고리인터넷 서비스
나스미디어
089600
- ∙ 매출액1,468억원
- ∙ 시가총액1,613억원
- ∙ PER9.65
- ∙ 카테고리미디어
태광
023160
- ∙ 매출액3,121억원
- ∙ 시가총액3,419억원
- ∙ PER6.21
- ∙ 카테고리기계
기업정보
동사는 1999년 설립, 2002년 코스닥 상장 후 2008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으며, 2013년 네이버로 분할 유지됨. 국내 1위 네이버 포털 기반으로 광고, 커머스, 핀테크 등 사업을 운영하고, 최대 IDC 보유 기업으로 클라우드와 기업용 솔루션 등 IT 인프라 확장 중임. 인공지능, 로보틱스 등 미래 기술 개발을 통해 기술 플랫폼 혁신을 추구, 세계 각국 이용자와 파트너의 동반 성장을 도모하고 있음.
추천영상
이데일리TV
• 넷플릭스의 대작 '오징어 게임 2'가 12월 26일 공개를 앞두고 전 세계적으로 큰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시즌 1은 넷플릭스 역사상 최고 조회수(2억 6천 회)를 기록하며 성공을 거뒀고, 시즌 2는 약 1천억 원의 제작비가 투입된 대작으로, 홍보도 이례적으로 3개월 전부터 대대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유럽과 미국에서의 이벤트와 시사회로 글로벌 관심을 끌고 있으며, 2024년 골든 글로브 최우수 TV 드라마상 후보에 선정되는 등 높은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 이에 따라 네이버(넷플릭스와의 멤버십 협업), 아티스트 유나이티드(배우 이정재와의 연관성), 덱스터(음향 작업 참여) 등이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들 기업은 오늘 주식 시장에서 최대 25% 이상의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매일경제TV
• 이번 주 주목받은 종목으로 JYP Ent., 대한항공, LK삼양, 네이버가 선정되었습니다. JYP Ent.는 한류 재개와 중국 시장 회복 기대감으로 엔터 섹터의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대한항공은 저유가 지속과 아시아나와의 합병 승인으로 점유율 확대와 호경기 시 폭발적 성장이 예상됩니다.
• LK삼양은 우주항공과 드론 분야에서 스페이스X 협력 및 고부가가치 기술력을 바탕으로 트럼프 트레이드의 수혜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AI 기반 수익화 모델과 글로벌 웹툰 시장 확장을 통해 4분기 매출 10조 원 돌파가 예상되며, 외국인과 기관 매수세 1위로 소프트웨어 대장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시그널경제TV
• 폴라리스 AI는 IT 솔루션, 무선 통신, 음성·화자인식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AI 관련주로, AI 기본법 재정과 정부 예산 증액 기대, 네이버 클라우드와의 MSP 계약을 통한 우크라이나 재건 참여 등 다양한 재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 고점 대비 조정 이후 반등하며 상한가를 기록해 변곡점 형성을 시도 중이며, AI 기술 시장 확대와 함께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 단기적으로는 조정 가능성을 고려해 약 2,600원대 눌림목 매수를 전략으로 삼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AI 산업의 성장성과 우크라이나 재건 프로젝트 참여에 따른 추가 상승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연합뉴스경제TV
네이버 웹툰은 미국 나스닥에 상장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4,300억 원을 조달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이다.
네이버 웹툰의 상장이 네이버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나, 일부 투자자들은 주요 자회사의 상장이 모회사의 성장 동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