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핀 | E1 종목 정보
E1017940
최신 업데이트: 2025-01-10
뉴스
실시간 한국거래소 가격 및 등락률 데이터는 20분 지연되어 제공됩니다.
이제 텔레그램에서도 시그널 뉴스를 받아보세요!
- 연합뉴스
노인 연령상향 논의 본격화…연금개혁도 상반기 완수 추진
사회보건복지부는 2025년 주요 업무 추진 계획에서 현행 65세인 노인 기준 연령을 높이는 사회적 논의를 본격화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위해 전문가 간담회를 열어 정년 연장과 복지 혜택 변화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입니다. 또한,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응하기 위해 상반기 내 연금개혁을 완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발표된 연금 개혁안은 보험료율을 9%에서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을 42%로 유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입니다.
인사이트 Q&A- •
- •
- 연합뉴스
베일벗은 실손보험 개편안…'비급여 항목' 관리 나선다
경제정부가 실손보험 개혁안을 발표했다. 핵심은 과잉 비급여 진료를 줄이고 필수의료 중심으로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다. 도수치료 등 남용 우려가 큰 비급여 진료를 관리 급여로 전환하고 본인부담률을 최대 95%까지 적용할 계획이다. 중증 질환에 집중하는 5세대 실손보험은 보장 한도가 축소되고 자기부담률이 높아지는 대신 보험료가 낮아진다. 또한, 임신과 출산 급여비가 신규 보장 내용으로 추가된다. 이번 개혁으로 과잉진료 사례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인사이트 Q&A- •
- •
- 연합뉴스
비급여 과잉진료 못한다…자기부담률 90% 이상 확대
사회정부는 도수치료 등 일부 비급여 치료에 대한 본인부담률을 9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비급여 진료를 건강보험 체계로 편입시키고, 의료기관별 진료비를 통일하며, 비급여와 급여 진료를 동시에 진행할 경우 모두 비급여로 처리하는 '병행진료 급여 제한'을 추진한다. 또한, 5세대 실손보험에서는 일반과 중증 환자의 자기부담률을 차별화하고, 임신과 출산 급여비를 신규 보장할 예정이다.
인사이트 Q&A- •
- •
- 연합뉴스
실손보험 개혁안 윤곽…비급여 항목 본인부담 95%까지 ↑
경제정부는 비급여 항목을 '관리급여'로 지정하고 본인부담률을 90~95%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비급여 진료를 건강보험 체계로 편입시키고, 의료기관별 진료비를 통일할 계획입니다. 또한, 미용과 성형 등 비급여 진료와 급여 진료를 동시에 받는 경우 모두 비급여로 부담하게 하는 '병행진료 급여 제한'도 추진합니다. 5세대 실손보험은 일반과 중증 환자의 자기부담률을 차별화하고, 임신과 출산 급여비 등을 신규 보장할 예정입니다.
인사이트 Q&A- •
- •
- 연합뉴스
산업부 내년도 예산, '대왕고래' 497억원 전액 깎인 채 확정
산업산업부 내년도 예산, '대왕고래' 497억원 전액 깎인 채 확정년도 예산, '대왕고래' 497억원 전액 깎인 채 확정 이른바 '대왕고래'로 알려진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의 내년 예산 497억원이 전액 삭감된 채 국회 본회의에서 확정됐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늘(10일) 국회 본회의를 통해 산업부의 2025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이 올해보다 0.4% 감소한 11조4천336억원으로 확정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9월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정부안 가운데 국회 심의 과정에서 4개 사업에 걸쳐 675억원이 감액된 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
수익구조
AI 트레이딩
실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매매타이밍을 확인해보세요.
수급 트레이딩
기관 순매도 5일 이상 지속
내일 기관이 순매도하면 기관 순매도 5일 이상 지속한 종목입니다.
지난 1년간 기관 순매도 5일 이상 지속 상황은 18건 발생하였습니다.
최근 3건은 2025-01-03, 2025-01-02, 2024-12-30일에 발생하였으며, 이후 주가는 1일간 각각 0.29%, 1.32%, -0.87% 움직였어요.
지난 1년간 국내주식시장에서는...!
기관 순매도 5일 이상 지속 발생 수 | 76,096건 |
---|---|
기관 순매도 5일 이상 지속 이후 1일 평균 수익률 | -0.02% 하락 |
기관 순매도 5일 이상 지속 상황이 발생한 종목은 같은 기간 KOSPI 시장과 수익률 차이가 없어요.
공시분석
공시유형
배당
2024년 12월 12일 정관 변경을 통해 배당기준일을 이사회 결의로 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4년 2월 15일, 2023년 결산배당으로 주당 4,450원의 현금 배당을 결정하였으며 시가배당율은 6.7%입니다. 이는 배당 정책의 유연성을 높이고 주주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여, 기업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공시
2024-12-12 | 원문 보러가기 | |
---|---|---|
2024-02-15 | 원문 보러가기 |
공시유형
기타
2024-10-02에 공시된 내용에 따르면, 지난 분기에 3,200억 원 규모의 단기금융상품 거래가 있었습니다. 2024-08-29에는 추가로 2,200억 원 규모의 거래가 있었으며, 2024-08-01에는 500억 원 규모의 거래가 있었습니다. 이는 E1이 단기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이는 회사에 긍정적입니다
공시
2024-11-26 | 원문 보러가기 | |
---|---|---|
2024-10-02 | 원문 보러가기 |
공시유형
수주
2024-10-30, E1은 3,834억 원 규모의 LPG 판매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이는 2023년도 매출액 대비 4.90%에 해당합니다. 2023-09-07, E1은 4,474억 원 규모의 LPG 판매 계약을 체결하였고 이는 2022년도 매출액 대비 5.60%에 해당합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계약 체결은 현 시점에서 안정적인 매출을 예견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공시
2024-10-30 | 원문 보러가기 | |
---|---|---|
2023-09-07 | 원문 보러가기 |
기술분석
지표
20일선 붕괴매도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했습니다. 단기적으로 하락 추세의 시작을 알립니다
관련 지표
2024-12-05 |
---|
지표
60일선 붕괴매도
주가가 60일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했습니다. 중기적인 하락 추세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로, 강력한 투자 심리 악화를 나타냅니다
관련 지표
2024-11-04 |
---|
지표
60일선 돌파실패매도
주가가 6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다시 하락했습니다. 중기적인 상승 모멘텀의 약화를 나타내며, 하락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관련 지표
2024-11-01 |
---|
지표
20일선 돌파매수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했습니다. 단기적인 상승 모멘텀이 형성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관련 지표
2024-10-07 |
---|
지표
20일선 지지매수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 위에서 하락을 멈추고 반등했습니다. 단기적으로 상승 추세의 시작을 알립니다
관련 지표
2024-10-04 |
---|
지표
20일선 돌파매수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했습니다. 단기적인 상승 모멘텀이 형성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관련 지표
2024-09-20 |
---|
지표
60일선 돌파매수
주가가 6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했습니다. 중기적인 상승 모멘텀이 형성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강력한 상승 신호로 간주됩니다
관련 지표
2024-09-19 |
---|
경쟁사
태광
023160
- ∙ 매출액3,121억원
- ∙ 시가총액3,419억원
- ∙ PER6.21
- ∙ 카테고리기계
현대모비스
012330
- ∙ 매출액59.25조원
- ∙ 시가총액23.39조원
- ∙ PER6.92
- ∙ 카테고리자동차부품
장원테크
174880
- ∙ 매출액570억원
- ∙ 시가총액116억원
- ∙ PER-
- ∙ 카테고리휴대폰 및 관련부품
원익홀딩스
030530
- ∙ 매출액7,495억원
- ∙ 시가총액2,012억원
- ∙ PER-
- ∙ 카테고리반도체 및 관련장비
신세계건설
034300
- ∙ 매출액1.50조원
- ∙ 시가총액1,400억원
- ∙ PER-
- ∙ 카테고리건설
KH 건설
226360
- ∙ 매출액374억원
- ∙ 시가총액607억원
- ∙ PER-
- ∙ 카테고리건설
다우기술
023590
- ∙ 매출액9.86조원
- ∙ 시가총액7,928억원
- ∙ PER3.51
- ∙ 카테고리증권
메쎄이상
408920
- ∙ 매출액508억원
- ∙ 시가총액893억원
- ∙ PER16.74
- ∙ 카테고리미디어
아시아나항공
020560
- ∙ 매출액7.62조원
- ∙ 시가총액7,367억원
- ∙ PER6.47
- ∙ 카테고리항공운수
기업정보
액화 석유 가스(LPG) 유통회사로서 LPG의 수출입, 저장, 운송, 판매 및 부동산 임대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국내·외 주요 거점별로 10개 판매거점을 구축하여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있음. 국내 사업장으로는 서울, 부산, 광주, 대구, 대전, 강원에 지사를 갖추고 있으며, 해외 사업장으로는 싱가포르, 휴스턴, 중동, 베트남 등에 지사를 배치하여 유기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음.
재무분석
실적분석
IFRS(연결) | 2020/12 | 2021/12 | 2022/12 | 2023/12 |
---|---|---|---|---|
매출액(억 원) | 39,276 | 51,523 | 79,908 | 78,277 |
영업이익(억 원) | 395 | 56 | 2,787 | 932 |
순이익(억 원) | 563 | 1,386 | 1,415 | 2,144 |
영업이익률(%) | 1 | 0.1 | 3.5 | 1.2 |
순이익률(%) | 1.5 | 2.6 | 1.8 | 2.7 |
ROE(%) | 5.2 | 10.6 | 10.3 | 13.9 |
부채비율(%) | 200.1 | 191.2 | 187.3 | 170.7 |
유보율(%) | 3,425.9 | 3,784.9 | 4,178.5 | 4,707.5 |
EPS(원) | - | - | - | - |
PER(배) | 5.1 | 2.5 | 2.2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