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핀 | CJ ENM 종목 정보
CJ ENM035760
최신 업데이트: 2025-11-03
Line Chart
회원가입 후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시분석
Report Card
공시유형
내부자거래
공시
| 2025-02-20 | 원문 보러가기 |
|---|
Report Card
공시유형
지분변동
공시
| 2025-02-20 | 원문 보러가기 |
|---|
Report Card
공시유형
실적속보
공시
| 2025-02-12 | 원문 보러가기 | |
|---|---|---|
| 2024-05-09 | 원문 보러가기 | |
| 2024-02-07 | 원문 보러가기 |
Report Card
공시유형
자사주
공시
| 2025-02-12 | 원문 보러가기 |
|---|
Report Card
공시유형
기타
공시
| 2024-06-28 | 원문 보러가기 | |
|---|---|---|
| 2024-04-30 | 원문 보러가기 |
기술분석
Report Card
지표
60일선 돌파매수
관련 지표
| 2025-02-20 |
|---|
Report Card
지표
60일선 돌파실패매도
관련 지표
| 2025-02-12 |
|---|
Report Card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하락매도
관련 지표
| 2025-01-16 |
|---|
Report Card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상승매수
관련 지표
| 2025-01-09 |
|---|
Report Card
지표
20일선 돌파실패매도
관련 지표
| 2024-12-13 |
|---|
Report Card
지표
60일선 돌파실패매도
관련 지표
| 2024-12-03 |
|---|
Report Card
지표
20일선 돌파매수
관련 지표
| 2024-11-05 |
|---|
경쟁사
Competitors List
핑거스토리
417180
- ∙ 매출액184억원
- ∙ 시가총액361억원
- ∙ PER17.58
- ∙ 카테고리미디어
바른손
018700
- ∙ 매출액615억원
- ∙ 시가총액374억원
- ∙ PER-
- ∙ 카테고리개인생활용품
고스트스튜디오
950190
- ∙ 매출액991억원
- ∙ 시가총액1,290억원
- ∙ PER5.85
- ∙ 카테고리게임 소프트웨어
스튜디오산타클로스
204630
- ∙ 매출액57억원
- ∙ 시가총액237억원
- ∙ PER-
- ∙ 카테고리미디어
NEW
160550
- ∙ 매출액1,291억원
- ∙ 시가총액600억원
- ∙ PER-
- ∙ 카테고리미디어
바른손이앤에이
035620
- ∙ 매출액237억원
- ∙ 시가총액323억원
- ∙ PER-
- ∙ 카테고리미디어
쇼박스
086980
- ∙ 매출액402억원
- ∙ 시가총액2,615억원
- ∙ PER-
- ∙ 카테고리미디어
아센디오
012170
- ∙ 매출액69억원
- ∙ 시가총액408억원
- ∙ PER-
- ∙ 카테고리미디어
에프엔씨엔터
173940
- ∙ 매출액922억원
- ∙ 시가총액513억원
- ∙ PER-
- ∙ 카테고리미디어
기업정보
동사는 1994년 종합유선방송사업과 홈쇼핑 프로그램의 제작공급 및 도소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현재 미디어플랫폼, 영화드라마, 음악, 커머스 등 4개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디지털 플랫폼 경쟁력 강화와 테크 기반 콘텐츠 제작 혁신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버추얼 스튜디오, LED Wall 등 첨단 인프라 구축과 AI 기반 콘텐츠 제작 혁신을 통해 입지를 강화하고 있음.
추천영상
언더스탠딩
넷플릭스는 K-콘텐츠의 글로벌 확장을 위해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며 수익 구조를 지배했습니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는 '오징어 게임'으로 막대한 수익을 올렸음에도 제작사나 창작자는 적절한 수익을 배분받지 못했습니다. 또, 넷플릭스가 제작비 100%를 부담하면서도, 콘텐츠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조는 한국 저작권법의 문제점에 기인했습니다. 법 개정이 이루어질 경우, 창작자들에게 더 많은 권리가 보장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스튜디오드래곤은 넷플릭스와의 파트너십이 강력한 콘텐츠 제작사로서의 이미지를 높였으며, 수익 배분 문제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구축할 가능성이 큽니다. CJ ENM은 넷플릭스와의 협업이 지속되면서 K-콘텐츠 제작과 배급에 강한 입지를 유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진출을 통한 수익 증대가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