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핀 | 에코프로 종목 정보
에코프로086520
최신 업데이트: 2025-01-14
뉴스
실시간 한국거래소 가격 및 등락률 데이터는 20분 지연되어 제공됩니다.
이제 텔레그램에서도 시그널 뉴스를 받아보세요!
- 이데일리
코스닥, 외인 매도세에 하락 반전…710선서 등락
금융코스닥 지수가 외국인의 순매도 확대에 하락 반전하여 710선에서 등락하고 있다. 15일 오전 10시 43분 현재 코스닥은 전 거래일 대비 0.27% 내린 716.08을 기록 중이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1351억원, 162억원 순매수 중이나, 외국인은 1466억원 순매도 우위를 보이고 있다. 업종별로는 제약, 건설, 화학 등이 약세를 보이고, 출판, 전기·전자, 금속 등은 상승세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대부분이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일부 2차전지 관련 종목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인사이트 Q&A- •
- •
- 이데일리
코스닥, 개인·기관 매수에 상승 출발…720선서 등락
경제코스닥 지수가 개인과 기관의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출발했다. 오전 9시 5분 현재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46% 상승한 721.35를 기록 중이다. 업종별로는 제약과 의료·정밀기기가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유통, 제조, IT서비스, 전기·전자, 금융 등이 상승세다. 반면 기타제조, 종이·목재, 비금속, 섬유·의류는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일부는 상승 중이나, 일부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인사이트 Q&A- •
- •
- 연합뉴스
주식 가치 하락에…총수 44명, 주식재산 6.6조원 증발
경제지난해 주가 하락으로 주요 그룹 총수 44명 중 28명의 주식 자산 가치가 감소했다. 한국CXO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이들 총수의 주식평가액은 지난해 초보다 6조6천144억원 줄었다. 주식재산 감소율이 가장 큰 총수는 이동채 전 에코프로 회장으로 56.7% 감소했으며, 금액 기준으로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조9천574억원 줄어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반면, 박정원 두산 회장은 주식 재산이 185% 증가했고,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은 주식 평가액이 1조9천502억원 늘어 금액 기준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인사이트 Q&A- •
- •
- 한국경제
"한때 9만원 넘던 주식이 어쩌다"…개미들 '눈물' [윤현주의 主食이 주식]
산업한때 9만원을 넘었던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주가가 현재 3만원 근처에서 횡보 중이다.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은 환경사업부문 분할과 2차전지 소재 사업의 초기 단계에 따른 불확실성이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은 환경 토털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반도체 소재 등 신사업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올해부터 2차전지 소재 사업 매출이 반영될 예정이며, 반도체 소재 사업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해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 중 절반은 신사업에 투입될 예정이다.
인사이트 Q&A- •
- •
- 서울경제
현대차 'IRA 보조금' 호재에…2차전지주 깜짝 반등
경제최근 주가 부진을 겪었던 2차전지 종목들이 현대차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혜택 대상에 포함되었다는 소식과 중국의 리튬 추출 및 음극재 가공 기술 수출 통제 발표로 인해 반등했다.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등 주요 2차전지 종목들이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저가 매수와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특히 외국인 매수세가 증시 상승을 견인했다. 그러나 전기차 수요 둔화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2차전지 업종의 장기적인 전망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인사이트 Q&A- •
- •
공시분석
공시유형
지분변동
2025-01-09에 주요계약체결 주식등의 수가 4,889,274주로 증가하여 유동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024-12-31에는 주요계약체결 주식등의 수가 4,854,491주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주식담보계약과 관련된 사항들로 인해 유동성 위기 가능성을 시사하며, 회사 입장에서 부정적인 정보입니다
공시
2025-01-09 | 원문 보러가기 | |
---|---|---|
2024-12-31 | 원문 보러가기 | |
2024-09-13 | 원문 보러가기 |
공시유형
자금조달/상환
2025-01-02에 에코프로는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551억 5,734만 원의 금전대여를 결정하였습니다. 2023-11-07에 에코프로의 자회사는 약 4,155억 원의 유상증자를 통해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을 조달하였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자금조달 결정은 회사의 장기적 성장과 유동성 강화를 위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공시
2025-01-02 | 원문 보러가기 | |
---|---|---|
2024-12-30 | 원문 보러가기 | |
2023-11-07 | 원문 보러가기 |
공시유형
자산양수/양도
2025년 1월 2일 에코프로는 자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사업 다변화 및 원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도네시아 PT. Green Eco Nickel의 28% 지분을 532억원에 인수했습니다. 해당 인수는 자기자본 대비 6.7%로,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이번 발표는 에코프로의 사업 확장 및 원가 경쟁력 강화를 통한 긍정적인 신호로 보입니다
공시
2025-01-02 | 원문 보러가기 |
---|
공시유형
신규투자
2024-12-31에 에코프로의 신규 시설투자가 1,013억 원으로 확정되어 재무 안정성이 개선되었습니다. 2023-05-25에 발표된 초기 투자계획은 1,353억 원 규모로 금융기관 차입을 통한 자금조달이 예정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자금조달계획과 최종 투자금액의 축소는 재무 안정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공시
2024-12-31 | 원문 보러가기 |
---|
공시유형
자사주
2024년 12월 31일, 에코프로의 자기주식 409,836주가 교환청구되어 보유 수량이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2024년 12월 30일, 자기주식을 처분하여 300억 원의 처분가액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는 에코프로의 재무 건전성 향상과 주주가치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공시
2024-12-31 | 원문 보러가기 |
---|
공시유형
배당
2024년 12월 16일, 에코프로는 배당기준일을 이사회 결의로 변경할 수 있는 정관변경을 발표했습니다. 2024년 3월 28일, 해당 변경 사항은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되었습니다. 이는 배당 정책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주주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변화로 평가됩니다
공시
2024-12-16 | 원문 보러가기 |
---|
공시유형
수주
에코프로는 2024년 9월 2일 삼성엔지니어링과의 계약 종료일을 연장하여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하였습니다. 2024년 4월 1일 에코프로머티리얼즈와 1조 450억 원의 대규모 계약을 체결하여 매출 성장을 도모합니다. 이와 같은 계약들은 에코프로의 재정 안정성과 성장을 증대시키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공시
2024-09-02 | 원문 보러가기 | |
---|---|---|
2024-04-01 | 원문 보러가기 | |
2023-09-27 | 원문 보러가기 |
공시유형
주식분할
2024년 4월 25일 에코프로는 액면분할로 인해 주권매매거래를 재개할 예정입니다. 2024년 2월 7일 에코프로는 보통주 액면분할을 발표하여 유동성을 높일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이 두 사건은 단기적으로 회사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시
2024-04-24 | 원문 보러가기 | |
---|---|---|
2024-03-28 | 원문 보러가기 | |
2024-02-07 | 원문 보러가기 |
공시유형
기타
2023년 9월 15일에는 전년 대비 연구개발 투자가 20% 증가했습니다. 2023년 6월 20일엔 부채비율이 10%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재무 및 사업적 변화들은 회사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투자자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공시
2024-03-27 | 원문 보러가기 |
---|
기술분석
지표
20일선 돌파매수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했습니다. 단기적인 상승 모멘텀이 형성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관련 지표
2025-01-08 |
---|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상승매수
거래량이 3거래일 연속으로 증가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가 상승이 예상되지만, 과도한 거래량 증가는 조정 가능성을 내포할 수 있습니다
관련 지표
2024-12-04 |
---|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상승매수
거래량이 3거래일 연속으로 증가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가 상승이 예상되지만, 과도한 거래량 증가는 조정 가능성을 내포할 수 있습니다
관련 지표
2024-12-03 |
---|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하락매도
거래량이 3거래일 연속으로 하락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가 하락이 예상되지만, 안정화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관련 지표
2024-11-20 |
---|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상승매수
거래량이 3거래일 연속으로 증가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가 상승이 예상되지만, 과도한 거래량 증가는 조정 가능성을 내포할 수 있습니다
관련 지표
2024-11-15 |
---|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하락매도
거래량이 3거래일 연속으로 하락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가 하락이 예상되지만, 안정화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관련 지표
2024-10-25 |
---|
지표
60일선 돌파실패매도
주가가 6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다시 하락했습니다. 중기적인 상승 모멘텀의 약화를 나타내며, 하락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관련 지표
2024-10-02 |
---|
경쟁사
KH 건설
226360
- ∙ 매출액374억원
- ∙ 시가총액607억원
- ∙ PER-
- ∙ 카테고리건설
태광
023160
- ∙ 매출액3,121억원
- ∙ 시가총액3,419억원
- ∙ PER6.21
- ∙ 카테고리기계
DSR제강
069730
- ∙ 매출액2,130억원
- ∙ 시가총액480억원
- ∙ PER3.71
- ∙ 카테고리금속 및 광물
나노
187790
- ∙ 매출액881억원
- ∙ 시가총액316억원
- ∙ PER-
- ∙ 카테고리화학
와이지-원
019210
- ∙ 매출액5,532억원
- ∙ 시가총액1,702억원
- ∙ PER7.40
- ∙ 카테고리기계
TP
007980
- ∙ 매출액9,202억원
- ∙ 시가총액683억원
- ∙ PER11.26
- ∙ 카테고리섬유 및 의복
광진실업
026910
- ∙ 매출액537억원
- ∙ 시가총액125억원
- ∙ PER-
- ∙ 카테고리금속 및 광물
하이드로리튬
101670
- ∙ 매출액229억원
- ∙ 시가총액1,248억원
- ∙ PER-
- ∙ 카테고리건설
엘컴텍
037950
- ∙ 매출액566억원
- ∙ 시가총액942억원
- ∙ PER37.59
- ∙ 카테고리휴대폰 및 관련부품
기업정보
동사는 1998년 대기오염방지, 친환경소재 및 2차전지소재의 제조와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됨. 2016년 2차전지 소재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에코프로비엠을 신설하였으며 2021년 대기오염방지 및 친환경소재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에코프로에이치엔을 신설한 뒤, 지주회사로 전환함. 동사 및 동사의 종속회사들이 영위하고 있는 사업부문은 전지재료사업부문, 환경사업부문 등이 있음.
추천영상
증시각도기TV
• 11월 25일, 한국 증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대형주의 강세로 코스피가 1.34% 상승한 2,554.34포인트, 코스닥이 2.93% 상승한 696.84포인트로 마감되었습니다. 특히 반도체, 2차전지, 화학 업종이 시장을 주도하며 연초 대비 부진했던 흐름에서 벗어나 반등을 시도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비롯한 대형주의 상승폭이 컸습니다. 삼성전자는 젠슨 황이 삼성의 HBM 기술을 빠르게 도입할 것이라는 소식에 힘입어 3.39% 상승하며 57,9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 SK하이닉스는 외국인의 매도 흐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업종 전반의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상승을 이어갔습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알테오젠과 에코프로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의 강세가 돋보였습니다. 알테오젠의 경우, 2대 주주인 형인우 대표가 충남대에 10억 원을 기부했다는 소식도 투자자들 사이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더불어 바이오와 2차전지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재무분석
실적분석
IFRS(연결) | 2020/12 | 2021/12 | 2022/12 | 2023/12 |
---|---|---|---|---|
매출액(억 원) | 8,508 | 15,042 | 56,397 | 72,602 |
영업이익(억 원) | 636 | 860 | 6,132 | 2,982 |
순이익(억 원) | 551 | 2,786 | 2,206 | 1,353 |
영업이익률(%) | 7.5 | 5.7 | 10.9 | 4.1 |
순이익률(%) | 2.9 | 16 | 0.6 | 0.7 |
ROE(%) | 8.2 | 32.7 | 2.9 | 3.4 |
부채비율(%) | 118 | 100.4 | 112 | 116.8 |
유보율(%) | 2,901.9 | 9,493.1 | 10,321.9 | 12,649.9 |
EPS(원) | - | - | - | - |
PER(배) | 31.5 | 10.4 | 74.3 | 33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