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핀 | 스튜디오드래곤 종목 정보
스튜디오드래곤253450
최신 업데이트: 2025-01-16
Line Chart
뉴스
실시간 한국거래소 가격 및 등락률 데이터는 20분 지연되어 제공됩니다.
이제 텔레그램에서도 시그널 뉴스를 받아보세요!
News List
- 한국경제
"스튜디오드래곤, 올해 구조적 체질 개선 뚜렷…목표가↑"-유진
산업유진투자증권은 스튜디오드래곤의 올해 구조적 체질 개선이 뚜렷하게 드러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5만2000원에서 5만6000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1% 감소한 1111억원, 영업이익은 16억원으로 시장 추정치를 밑돌 전망이다. 하지만 OTT향 선판매 작품 증가와 하반기 드라마 편성 회복, 일본 드라마 추가 납품 등으로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또한, '신인 발굴 프로젝트'를 통한 수익 공유 모델 확립과 제작비 효율화로 비용 개선 효과도 예상된다.
인사이트 Q&A- •
- •
- 한국경제
"스튜디오드래곤, 올해 제작 편수 증가…이익 개선 본격화"-삼성
산업삼성증권은 스튜디오드래곤의 올해 제작 편수가 증가하면서 이익 개선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2023년 33편에서 지난해 18편으로 줄었던 제작 편수가 올해 5~7편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제작 프로세스 효율화로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또한, tvN 채널의 수목 드라마 슬롯이 하반기부터 부활하고, 일본판 드라마 제작 등으로 안정적인 제작 편수 확대가 예상된다. 다만,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를 밑돌 것으로 보인다.
인사이트 Q&A- •
- •
- 파이낸셜뉴스
스튜디오드래곤, 연말 실적 개선 기대치 낮아... 내년도 주목-유안타
경제스튜디오드래곤, 연말 실적 개선 기대치 낮아... 내년도 주목-유안타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유안타증권은 5일 스튜디오드래곤에 대해 연말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치를 낮출 필요가 있다며 다만 내년에는 긍정적인 흐름이 전개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5만8000원을 유지했다. 유안타증권 이환욱 연구원은 "올해 스튜디오드래곤의 연간 제작 작품 수는 기존 예정되었던 24작품에서 20작품으로 축소될 전망"이라며 "다만 4·4분기의 경우 작품 수(4개) 대비 회차 당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크게 증가할 전...
- 머니투데이
3년만에 불황 벗어날까…힘 받는 제작사 주가
경제3년만에 불황 벗어날까…힘 받는 제작사 주가CJ ENM 주가 추이./그래픽=윤선정 디자인 기자K팝 열풍에도 하반기 내내 부진하던 콘텐츠 제작사 주가가 반등세를 보인다. 2022년부터 3년째 감소하던 콘텐츠 제작 편수가 2025년부터는 다시 증가한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중국과의 문화 교류 확장 가능성도 기대감을 높인다.3일 코스닥 시장에서 CJ ENM은 전일 대비 2000원(3.13%) 오른 6만5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12일 기록한 연중 최저점인 5만2800원 이후 24%대 올랐다. CJ ENM 주가는 지난 5월27일 9...
- 한국경제
"김태리만 믿고 버텼네요"…주가 반전에 개미들 '환호' [종목+]
경제김태리만 믿고 버텼네요…주가 반전에 개미들 환호 드라마 '정년이' 효과?…스튜디오드래곤 주가 반등스튜디오드래곤, 저점 대비 46% 상승드라마 수요 정상화…실적 개선 기대"업황 바닥 지나…주가 우상향 전망" 사진=뉴스1스튜디오드래곤 주가가 바닥을 다지고 반등세를 탔다. 드라마 제작 수요가 증가하면서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가 커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증권가에선 장기간 '부진의 늪'에 빠져있던 스튜디오드래곤이 내년부터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26일 스튜디오드래곤은 전날보다 3.88% 오른 4만8250원으로 마감했다.
공시분석
Report Card
공시유형
수주
2024-12-17, 스튜디오드래곤은 Netflix와 중요한 콘텐츠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회사의 매출 및 재무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계약은 회사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치열한 OTT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공시
2024-12-17 | 원문 보러가기 |
---|
Report Card
공시유형
실적속보
2024년 11월 7일 자 3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액이 전기 대비 34.1% 감소하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적자 전환되었습니다. 2024년 8월 8일 자 2분기 실적 발표에서도 매출액이 전기 대비 28.6% 감소하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스튜디오드래곤의 재무상태와 수익성에 대해 부정적인 신호를 보여줍니다
공시
2024-11-07 | 원문 보러가기 | |
---|---|---|
2024-08-08 | 원문 보러가기 |
기술분석
Report Card
지표
20일선 지지매수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 위에서 하락을 멈추고 반등했습니다. 단기적으로 상승 추세의 시작을 알립니다
관련 지표
2024-12-17 |
---|
Report Card
지표
20일선 지지매수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 위에서 하락을 멈추고 반등했습니다. 단기적으로 상승 추세의 시작을 알립니다
관련 지표
2024-12-09 |
---|
Report Card
지표
20일선 돌파매수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했습니다. 단기적인 상승 모멘텀이 형성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관련 지표
2024-11-12 |
---|
Report Card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하락매도
거래량이 3거래일 연속으로 하락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가 하락이 예상되지만, 안정화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관련 지표
2024-11-08 |
---|
Report Card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하락매도
거래량이 3거래일 연속으로 하락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가 하락이 예상되지만, 안정화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관련 지표
2024-10-28 |
---|
Report Card
지표
60일선 돌파매수
주가가 6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했습니다. 중기적인 상승 모멘텀이 형성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강력한 상승 신호로 간주됩니다
관련 지표
2024-10-02 |
---|
Report Card
지표
거래량 3일간 연속하락매도
거래량이 3거래일 연속으로 하락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가 하락이 예상되지만, 안정화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관련 지표
2024-09-23 |
---|
경쟁사
Competitors List
핑거스토리
417180
- ∙ 매출액184억원
- ∙ 시가총액361억원
- ∙ PER17.58
- ∙ 카테고리미디어
고스트스튜디오
950190
- ∙ 매출액991억원
- ∙ 시가총액1,290억원
- ∙ PER5.85
- ∙ 카테고리게임 소프트웨어
빅텐츠
210120
- ∙ 매출액175억원
- ∙ 시가총액811억원
- ∙ PER-
- ∙ 카테고리미디어
SOOP
067160
- ∙ 매출액3,476억원
- ∙ 시가총액1.13조원
- ∙ PER15.12
- ∙ 카테고리인터넷 서비스
알비더블유
361570
- ∙ 매출액914억원
- ∙ 시가총액626억원
- ∙ PER-
- ∙ 카테고리미디어
엔피
291230
- ∙ 매출액353억원
- ∙ 시가총액841억원
- ∙ PER-
- ∙ 카테고리미디어
스튜디오산타클로스
204630
- ∙ 매출액57억원
- ∙ 시가총액237억원
- ∙ PER-
- ∙ 카테고리미디어
드림어스컴퍼니
060570
- ∙ 매출액2,703억원
- ∙ 시가총액1,174억원
- ∙ PER-
- ∙ 카테고리미디어
아티스트유나이티드
321820
- ∙ 매출액213억원
- ∙ 시가총액2,358억원
- ∙ PER-
- ∙ 카테고리IT 서비스
기업정보
2016년 5월 CJ ENM의 드라마 사업본부가 물적분할되어 설립,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미디어 플랫폼에 배급하고 VOD, OTT 등을 통한 유통 및 관련 부가사업을 영위함. 도깨비, 미스터선샤인, 사랑의 불시착 등 완성도와 화제성 높은 드라마를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전통 미디어, 디지털, OTT 등 뉴미디어까지 영향력을 확대 중. 미국 제작사 스카이댄스 미디어와 The Big Door Prize 공동 기획 제작.
추천영상
언더스탠딩
넷플릭스는 K-콘텐츠의 글로벌 확장을 위해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며 수익 구조를 지배했습니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는 '오징어 게임'으로 막대한 수익을 올렸음에도 제작사나 창작자는 적절한 수익을 배분받지 못했습니다. 또, 넷플릭스가 제작비 100%를 부담하면서도, 콘텐츠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조는 한국 저작권법의 문제점에 기인했습니다. 법 개정이 이루어질 경우, 창작자들에게 더 많은 권리가 보장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스튜디오드래곤은 넷플릭스와의 파트너십이 강력한 콘텐츠 제작사로서의 이미지를 높였으며, 수익 배분 문제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구축할 가능성이 큽니다. CJ ENM은 넷플릭스와의 협업이 지속되면서 K-콘텐츠 제작과 배급에 강한 입지를 유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진출을 통한 수익 증대가 기대됩니다.
재무분석
실적분석
Financial Statements Table
IFRS(연결) | 2020/12 | 2021/12 | 2022/12 | 2023/12 |
---|---|---|---|---|
매출액(억 원) | 5,257 | 4,871 | 6,979 | 7,531 |
영업이익(억 원) | 491 | 526 | 652 | 559 |
순이익(억 원) | 296 | 390 | 506 | 301 |
영업이익률(%) | 9.3 | 10.8 | 9.3 | 7.4 |
순이익률(%) | 5.6 | 8 | 7.2 | 4 |
ROE(%) | 5.7 | 6 | 7.5 | 4.4 |
부채비율(%) | 24.3 | 29.3 | 65.1 | 54.3 |
유보율(%) | 3,961.7 | 4,456.9 | 4,296.3 | 4,609.3 |
EPS(원) | - | - | - | - |
PER(배) | 88.7 | 69.9 | 51.1 | 51.5 |